반응형
개요
Linux의 런 레벨과 Vi에디터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!
런 Level
Run Level은 init 명령어 뒤에 붙는 숫자를 Run level 이라고 합니다.
| 런레벨 | 영문모드 | 설명 | 비고 |
| 0 | Power off | 종료 모드 | |
| 1 | Rescue | 시스템 복구 모드 | 단일 사용자 모드 |
| 2 | Multi-User | 사용하지 않음 | |
| 3 | Multi-User | 텍스트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| |
| 4 | Multi-User | 사용하지 않음 | |
| 5 | Graphical | 그래픽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| |
| 6 | Reboot |
런레벨 모드를 확인하려면 /lib/systemd/system/runlevel?. target 파일을 확인하면 됩니다!
Runlevel을 3로 변경

Ctrl + Alt + F1 ~ F6 : 멀티 유저 모드로 터미널 창이 나오게 됩니다.

Vi에디터 사용방법
Vi 에디터 사용법 개요

vi 에디터는 명령 모드에서 ex 모드 와 입력 모드로 번갈아 가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저장 및 종료

입력모드 전환

이동

삭제

복사 & 붙여 넣기

블록 지정

이렇게 이번에는 리눅스의 런레벨과 Vi 에디터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!
반응형
'서버 > Linux(리눅스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Linux 리눅스 (우분투 심볼링 링크 하드링크) (0) | 2019.11.29 |
|---|---|
| Linux 리눅스 (우분투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와 허가권) (0) | 2019.11.29 |
| Linux 리눅스 (우분투 사용자와 그룹) (사용자와 그룹 관련 명령어) (0) | 2019.11.29 |
| Linux 리눅스 (우분투 기본 명령어) (0) | 2019.11.29 |
| Linux 리눅스 (우분투 root 계정 활성화 하기) (0) | 2019.11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