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EC2
- 자유롭고 간단한 서버 스펙 변경이 가능합니다.
- 스케일을 다운 , 업 이 쉽습니다. Instance Type을 바꾸어 주기만 하면 EBS에 있는 인스턴스가 잘 찾아가기 때문입니다.
- 과금 옵션 및 비용이 최적화되어있습니다.
- 다양한 요금 옵션(On-Demand , Reserved , Spot ) 등등 이 있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요금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EBS : 블록 스토리지
- EC2에 attach 해서 쓸 수 있는 블록 스토리지이며
- 단일 가용 영역 내에서 여러 서버에 걸쳐 복제가 가능합니다.
- 특정 시점에 대한 볼륨 스냅샷을 만들 수 있는 기능 제공 -> S3에 저장되어 복수의 가용 영역 (AZ)에 걸쳐 자동으로 복제가 가능합니다.
S3 : 무제한 객체 스토리지
- 객체 기반의 무제한 파일 저장 스토리지입니다.
- URL을 통해 손쉽게 파일 공유 가능.
- 99.99999999%의 내구성.
- 사용한 만큼만 지불(GB당 과금).
-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가능. (웹서버의 역활도 한다)
- 데이터 전송 또는 저장 시 암호화 지원.
- S3는 AWS 서비스들과의 통합/연계가 잘 되어 있습니다.
- S3를 이용하여 간단한 index.html 을 띄워보겠습니다.
Cloud9과 S3를 이용하여 호스팅
Cloud9 에서 wep 폴더 및에 html파일을 하나 만들어 줍니다.
그런다음 S3에 들어가서 create bucket을 누르면 됩니다.
name은 자신만의 것으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.
html 파일을 S3://dyac-jsh디렉터리 밑으로 복사해주시면 됩니다.
그렇게 되면 html의 파일이 들어와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이제 권한을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Properties 에서 use this bucket to host a website에 index.html 을 입력한 다음에 Save를 눌러주시면 됩니다.
그런다음 Permissions에서 Edit을 클릭하여 체크박스를 해제하여 줍니다.
그렇게 되면 index.html파일을 클릭하게 되면 Mack public 을 클릭 할 수 있게 변경됩니다.
클릭하여 들어간 후 Object URL을 들어가시면 됩니다.
들어가시면 Amazon S3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만든 html파일을 호스팅 하게 됬습니다.
블록 스토리지 VS 객체 스토리지
파일에서 텍스트 하나를 변경하려면?
- 블록 스토리지 : 해당 글자가 포함된 블록 하나(파일의 일부분)만 변경
- 객체 스토리지 : 전체 파일을 업데이트
Amazon Glacier : 아카이빙/백업 스토리지
- 9999999%의 내구성
- 백업 / 아카이빙 용도의 Cold 데이터
- 사용한 만큼 매우 낮은 비용으로 활용 가능 (S3보다 더 저렴합니다.)
- 즉 S3 는 무제한 스토리지 Glacier 은 데이터 백업의 기능을 합니다.
- 그러므로 상황에 맞는 비용 효율적인 저장을 고려하여야 합니다!
반응형
'서버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(머신러닝,딥러닝 AI 서비스 사용해보기) (0) | 2019.11.28 |
---|---|
AWS (DynamoDB) (1) | 2019.11.26 |
AWS (Cloud9 , EC2) WorePress 띄워보기 (0) | 2019.11.26 |
AWS (서비스 소개) (0) | 2019.11.25 |
AWS (클라우드 컴퓨팅) (0) | 2019.11.25 |